Long-Term Outcomes of Bilateral Subthalamic Nucleus Deep Brain Stimulation for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10 Years and Beyond

1. 학술지명: Neurosurgery 2. 게재년월: 2022. 11. 3. 저자명: 박혜란, 임형준 교수, 박정빈, 윤병우, 임용훈, 송은진, 김경란, 이재민, 박광우, 박광현, 박현주, 신정환, 우경아, 이지영, 박수연, 김한준, 전범석, 백선하 4. 링크: https://journals.lww.com/neurosurgery/Fulltext/2022/11000/Long_Term_Outcomes_of_Bilateral_Subthalamic.9.aspx#ej-article-sam-container

삼성전자 생활가전: 가전 구독서비스 전략 및 기회 발굴 조사 (사용자경험 연구실, 이중식 교수)

요약: 생활가전 제품을 둘러싼 환경이 변화하고 있다. 사용자 입장에서는 삶의 가변성과 유동성이 증가하여 안정적인 가전제품의 소유를 더는 선호하지 않게 되었다. 시장 환경은 단일 제품 구매 경험에서 사용자와의 지속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사용자 경험 중심 생태계로 변화하였다. 기술적으로는 IoT 기술 탑재 및 데이터 수집이 용이해짐에 따라 지속적인 소비자 데이터를 통해 가전의 사용 경험을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

로보틱아트: 공간지능형&대화지능형 로보틱 아트 대화에이전트 연구 (사용자경험 연구실, 이중식 교수)

요약: 인공지능으로 대변되는 이 시대에 기술은 아티스트에게 창의성과 예술성에 대한 새로운 고민을 제안한다. 하지만 로보틱아트는 공학적 난이도가 높아 융・복합(예술・공학) 관점에서의 접근이 필요하다. 본 프로젝트에서는 로보아츠(Robot-Arts)의 공간지능형/대화반응형 대화에이전트를 제공하여 예술분야의 또 다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참가자: 이기훈, 유지수 기간: 2022.05 ~ 2023.12 협력 기관: 콘텐츠진흥원/ 아트센터 나비

꿈 정거장: 대화형으로 꿈을 기록하는 보이스 서비스 (사용자경험 연구실, 이중식 교수)

요약: ‘꿈 정거장’은 보이스 서비스가 사적인 상황에서 많이 사용된다는 사실에서부터 착안하여, 꿈 기록이라는 도메인이 보이스 인터랙션의 여러 특징들에 잘 어울린다는 장점을 찾아나가고 있는 프로젝트이다. 구글 어시스턴트[링크]에서 배포되어 실제 유저들이 서비스를 어떻게 사용하는지 현상 및 효과를 살펴보고자 했다. * 더 알아보기: 꿈 정거장 홈페이지[링크] 참가자: 유지수 기간: 2022. 1. ~ 2022. 10.

네이버 쇼핑 UX 개선: 로그 데이터 기반 행동 유형 모델링 (사용자경험 연구실, 이중식 교수)

요약: 네이버 쇼핑에서는 최저가 검색, 특정 물건 구매, 상품 둘러보기 등 다양한 사용자 행동이 나타나지만, 사용자는 획일화된 기능과 동일한 정보 인터페이스를 제공받고 있다. 본 프로젝트에서는 이런 문제 지점에 착안해, 로그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자 행동 유형별 최적의 쇼핑 프로세스를 제시하고자 했다. 참가자: 김민주, 유지수, 이기훈 기간: 2022. 3. ~ 2022. 10. 협력 기관: 네이버 쇼핑